SNS와 메신저 그리고 블로그 이 세가지 형태는 확실히 다르다.
SNS는 단문을 중심으로 한 사회 기간 및 관계망과의 소통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메신저는 보안과 프라이버시를 기반으로 하여 지인들이나 비지니스 중심으로 소통을 위한 도구이다.
블로그는 개인의 생각과 정보 조합의 큐레이션을 종합하여 출판하는 퍼블리션 도구이다.
우선적으로 메신저는 SNS가 아니다.
SNS가 메신저의 역할을 대행 할 수 있지만 메신저 자체가 SNS가 될 수 없다.
왜냐하면 메신저는 앞서 말했듯이 보안과 프라이버시를 중심으로 하며 '비공개' 소통을 그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것은 집단 대화든 단독 대화든 마찬가지 일 것이다. 그렇기에 메신저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에서 개인의 사생활과 정보 교류를 철저하게 보호 해야만 메신저로서 성립이 될 수 있으며 데이터의 흐름에는 암호화가 반드시 필요로 해야만 한다.
사실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메신저 서비스는 본격적으로 대중화 되기 훨씬 그 이전부터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많은 논쟁이 있었다.
바로 암호화의 원칙을 준수 해야 하느냐 말아야 하느냐 이다.
먼저 핸드폰의 경우를 설명한다면 그것의 서비스 자체 또한 하나의 메신저 서비스 이다. 그리고 여기에는 반드시 규정과 규격에 따라 데이터 흐름의 암호화를 기본 규칙으로 하고 있다.
그것을 갖춰야만이 메신저 서비스의 가장 기본 형태를 형태를 갖추는 것이고 진정한 메신저라고 할 수가 있다.
그래야만 데이터를 다시 복호화 하는데 있어서 많은 비용과 시간이 발생한다.
즉 그래야만이 국가기관이나 개인이 정말로 필요로 할때만 그 데이터 정보를 취득할수 있게 되며 (무단 수집 불가)
그리고 해커나 범죄자들은 그것을 복호화 할수는 있겠지만 결국 타산이 맞지 않기에 무차별적으로의 정보수집이 어려워 진다.
하지만 만약 국가기관이나 기업이 개인의 메신저 데이터를 마음대로 수집할수 있게 되면 그에 따라 수많은 국제 해커와 범죄자들에게도 그 데이터는 반드시 노출이 되기 마련이다. 메신저 서버에 해킹, 기관망에 해킹, DNS 누수 및 감청 등 모든 구멍을 절대로 막을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필자는 SNS가 메신저의 역할을 잠시나마 대응 할수는 있지만 메신저 자체가 SNS가 되어선 안된다고 말한 것이다.
하지만 현재의 추세는 SNS와 블로깅의 연계는 실질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왜냐하면 둘의 서비스 방식은 프라이버시가 아닌 '공개' 방식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블로깅 형태와 SNS의 결합은 실질적으로 가능하고 많은 대기업들이 이를 추진 하고 있다.
그리고 예외적으로 개인은 대화의 공유를 희망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문제 또한 한 쪽의 입장만이 아닌 양쪽의 입장을 전부 채택해야만 한다.
즉 양쪽이 공유를 허가 했을때 사회 공유망으로 배포가 가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단독 대화나 집단 대화 그 자체는 데이타 암호화를 그 규정으로 한다면 SNS, 메신져, 블로그는 통합이 가능할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당신이 명심해야 할 것은 메신저가 절대 폐쇄적이 않다는 것이다.
메신저가 폐쇄적이라 착각하여 누군가의 대화에서 절대 남의 흉이나 죄악을 남기지 마라.
아무리 암호화가 된다고 할 지라도 상대방은 그것을 기록하여 놓을 것이며 그것은 언젠가 당신의 발목을 잡게 될 것이며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그것은 서버에도 아주 아주 오랫동안 기록된다는 것을 잊지 말자.
단어 하나 글자 하나라도 실제로 기록에서 절대 지워지지 않는 다는 것을 명심하자.